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정보

전동기, 이동용기계기구 등 전기 취급작업시 재해위험요인과 안전대책(전로차단절차 등)

전동기, 이동용기계기구 등 전기 취급작업시 재해위험요인과 안전대책(전로차단절차 등)


전기기계기구는 전기설비의 일부로 사용이 되거나 전기설비에 접속이 되는 피팅기구, 전기기구, 조명기구 등을 총칭합니다. 대부분 전동기를 가지고 있는 기계기구입니다. 전기설비는 누전, 충전부 접촉 등으로 인해 감전재해가 많이 발생하며, 특히, '감전시에는 사망위험이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 전기가 위험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전기가 on, off되더라도 해당 설비에 전기가 들어오는지 들어오지 않는지를 차단기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본의 경우 110V를 사용하여 위험성이 낮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전력손실방지를 위해 '220V를 사용하는 것도 전기사용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사업장 내에서 뿐만 아니고 가정에서도 상당히 위험성이 높은 요인이 됩니다.


● 감전재해란?


인체에 전류가 흐를 경우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서 인체내에는 생리적인 현상이 급격히 진행이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전격, 전기쇼크(eletric shock)라고합니다. 감전시 근육의 수축이 발생하고, 호흡곤란, 심실세동 등을 일으켜 사망하게 됩니다. 이러한 직접적인 재해 이외에도 '2차적인 재해'를 일으키기도 하는데 고소작업 중에 감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전격으로 추락 등의 재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전기외함 접촉에 따른 감전사망 발생


아래 그림처럼 전기가 누전이 될 경우에 눈으로 확인 할수가 없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일정 기준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감전시에 본인 스스로 탈출(이탈전류)할 수가 없습니다. 즉, 다른 사람이 구해주지 않는 이상 사망할 확률이 높습니다. 누전차단기가 설치가 되어 있어도 오래지나다 보면 작동을 잘 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시에는 누전차단기의 작동여부, 외함접지여부를 반드시 확인 후에 작업을 해야 합니다.




● 전기취급작업시의 주요위험요인은?


- 분전반, 배전반 전기충전부의 노출부분에 접촉시 감전위험

- 배선 등의 노화, 찍힘, 킹크 등에 따른 누전으로 감전위험

- 외함 접지 미실시에 따른 감전위험

- 인체의 전기저항 불량(땀, 젖은 옷 등)에 따른 감전위험

- 특별고압 등 충전전로 근접작업시 감전(비접촉)



● 전기기계기구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1. 전로 작업시에는 작업전로를 차단 및  잠금장치를 하고 '작업 중 조작금지' 꼬리표를 부착하였는가?

2. 검전기를 사용하여 충전전류가 남아있는가(잔류전류하) 확인하였는가?

3. 감전위험의 기계설비의 설치, 해체, 정비, 점검 작업시 유자격자가 하고 있는가?

4. 전기차단기, 분전반, 배전반 등의 충전부는 절연조치를 하였는가?

5. 금속이나 철제 등 전도체의 외함에 접지를 하였으며 양호하게 접속(본딩)이 되어 있는가?

6. 이동용전기기계(전등, 핸드그라인더, 드릴 등)는 누전차단기에 접속사용하는가?

6-1. 이용용전기기계기구는 2 중절연구조를 사용하였는가?

7. 주기적으로 누전여부를 체크(절연저항 체크), 접지저항을 측정하고 있는가?

8. 용접선, 이동전선, 배선 등의 피복상태는 양호한가?

9. 전기기계기구 수리보수작업시 타 근로자의 조작방지를 위해서 잠금장치, 조작금지표지판은 부착했는가?

10. 변전실의 출입문에는 잠금장치를 하고 관계자외의 출금금지표지 부착 및 조치를 하였는가?

11. 변전실 등 특별고압충전전로에는 접근한계거리 표지판을 부착하였는가?

12. 충전전로의 근접장소에서 청소 등의 작업시 접근한계거리를 유지하였는가?

13. 낙뢰위험이 있는 설비의 경우 피뢰침이 설치되어 있는가?

14. 정전기에 의한 폭발, 화재등의 위험성에 따라 위험설비에 접지, 제전장치, 도전성재료 사용 등 제전조치를 하였는가?

15. 충전전로 등의 전기작업시에 절연용방호구, 보호구 등을 착용하였는가?

16.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해체, 정비, 점검,  설치등의 작업시 작업계획서를 작성 후 그 계획대로 작업하는가? 


● 전로차단절차


1단계 : 전기기기 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관련 도면, 배선도 등으로 확인

2단계 : 전원을 차단 후 각 단로기 등을 개방하고 확인

3단계 : 전원차단 후 단로기 등에 잠금장치 및 꼬리표 부착

4단계 : 유도전압, 축전되어 있는 잔류전하의 완전방전

5단계 : 검전기를 이용하여 작업대상 기기에 충전여부 확인

6단게 ; 타 전기기계와의 접촉, 유도 또는 예비동력원 역송전에 따른 위험방지를 위해 충분한 용량의 단락접지기구 이용하여 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