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정보

태풍 등 자연재해 예방대책(주요위험요인, 준비사항, 강풍시 주의사항)

태풍 등 자연재해 예방대책(주요위험요인, 준비사항, 강풍시 주의사항)


요즘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폭우와 폭설이 내리고 장마가 지속되는가 하면 가믐도 장기간에 걸쳐 발생합니다. 태풍 등 자연재난의 경우에 사업장에서도 붕괴, 물건의 비래 등으로 인해 재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몇년 전에 태풍이 불면서 사업장 내에 출입문이 떨어져 날아가면서 근로자를 가격해 숨지는 재해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내해는 미리미리 준비해서 대비해야 합니다. 


● 태풍발생시 주요위험요인은?


1. 토사유실, 지반의 약화 등으로 인해 벽, 건물 등의 붕괴

2. 태풍후 전도된 전주, 떨어진 전선 등에 의한 감전위험

3. 침수 등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

4. 물에 젖은 사업장내 전기설비 등에 의한 감전위험

5. 각종 유기물(동물사체 등0로 인한 질병, 전염병 위험



● 태풍이 오기전, 올 경우 준비해야 할 사항


1. 태풍의 붕상시기와 예상경로, 강우량 등을 알아보고 안전점검으로 대비

2. 비상사태발생에 따른 비상연락망 구축(기상청, 소방대, 병원, 지자체, 인근현장 등)

3. 태풍으로 인해 범람, 유실의 우려가 있는 연약지반, 하천 옆의 경우 제방 등 보수작업 실시

4. 차량계건설기계 운행도로의 경우 토사유실방지를 위해 배수그 점검, 가스관, 전화케이블, 상하수관 등 지하매설물 확인

5. 태풍이 올 경우  작업을 중지한다

6. 태풍으로 인한 정전발생을 예상하여 손전등, 양초등을 준비한다


● 태풍이 지나간 뒤


1. 파손된 상하수도, 도로의 경우 시,군,구,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하여 보수한다

2. 침수된 건물이나 공장 내에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므로 환기 후 출입

3. 침수된 기계기구는 함부로 만지지 않고 매인전원을 차단하고 수리한다

4. 끊어진 전선 등은 감전위험이 있으므로 전선근처에 접근하지 않는다(고압선의 경우 전기안전공사 등전용업체 의뢰)


● 태풍이 몰아칠 경우(강풍)


1. 창문과 같은 유리창 근처는 유리가 파손시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피한다

2. 공사장 안의 물건이 날려서 비래할 수 있으므로 바깥출입을 금지한다

3. 지붕 등 고소작업을 금지한다